강아지에게 목줄을 매는 것은 자유를 구속하는 것일까?
개에게 목줄을 채우는 행위를 매우 불편해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개의 행동을 제한하기 때문에 산책을 나가도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죠. 그래도 많은 전문가들과 각종 대중매체에서 강조되는 펫티켓으로 목줄을 매지만 조금이나마 자유를 주기 위해 일종의 타협안으로 줄의 길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자동 줄을 선택합니다. 과연 강아지 목에 목줄을 매는 것이 강아지의 자유를 구속하는 행위일까요? 목줄을 맨 강아지는 정말로 자유롭지 못하다 생각할까요?
제대로 이해하기
개의 목에 목줄이 매여진다고 하면 과거 시골에서 집을 지키던 번견들처럼 평생 쇠줄에 묶여 불행하게도 그 자리를 벗어나지 못하는 개의 이미지가 연상됩니다. 이런 이유로 강아지 목에 목줄을 매는 것이 마치 강아지를 감옥에 가두는 것과 다름없다고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분들도 적지 않습니다. 그러나 강아지와 함께 산책할 때의 목줄은 강아지를 올바르게 훈련시키기 위한 교육적 도구이자 혹시라도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해 주는 필수 안전장치입니다. 강아지도 자신이 자유를 빼앗겼다는 생각은 전혀 하지 않을 겁니다. 오히려 산책을 매번 줄 없이 다닌다면 외부 상황들에 그대로 노출이 되기 때문에 불안하고 보호자도 강아지가 멀리 있게 되면 제때 조치를 취할 수 없기 때문에 위험한 상황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하루종일 집 안에만 있다가 보호자와 함께 밖으로 나간다는 한 가지 사실만으로도 강아지는 충분히 행복감을 느끼게 됩니다. 그리고 산책을 나가 강아지에게 목줄과 리드줄을 통해 훈련이 이루어지고 보호자에게 집중하고 차분하고 여유롭게 보호자옆에서 걷는 방법을 알게 된다면 강아지는 한 단계 더 성장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주위에서 바라보는 사람들도 보호자와 반려견을 인정하게 될 것입니다. 혼자서는 가지 못하는 곳에 보호자와 함께 갈 수 있고, 함께 노는 것처럼 즐거운 일이 어디 있겠습니까? 따라서 강아지에게 목줄을 채워준다는 것은 보호자와 함께 특별한 순간, 즉 산책을 나간다는 특별한 신호를 예고하는 겁니다. 펫샵에서 강아지를 입양하게 되면 보통 자동 리드줄을 구매하게 됩니다. 리드줄의 길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자동 리드줄은 처음 산책을 배우는 강아지에겐 권장하지 않습니다. 실제로 강아지의 행동을 보면 줄의 길이가 3M 더 길어진다고 해서 강아지가 더 많은 자유를 느끼지 않습니다. 자동 리드줄은 계속 줄이 당겨지는 상태가 유지됩니다. 줄이 계속 팽팽하게 당겨지면 강아지는 긴장하게 됩니다. 더 악영향이 되는 것이죠. 그리고 갑작스러운 상황에서 줄을 제어하기 힘들기 때문에 개 물림 사고와 같은 위험한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줄의 길이가 길게 늘어나기 때문에 행인들의 발에 걸릴 우려가 있으며, 무엇보다도 강아지가 보호자에게서 멀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보호자 옆에서 안전하고 차분하게 걷는 법을 가르칠 수 없습니다.
올바르게 실천하기
강아지를 입양했다면 먼저 집에서도 목줄을 목에 걸어주세요. 어린 강아지에게 자신감을 심어주고 예민함을 둔감화 시키고 사회성을 키워주는 훈련을 '퍼피 트레이닝'이라고 합니다. 이때 가장 첫 번째로 진행되어야 할 훈련이 '목줄 적응'입니다. 목줄을 하고 리드줄도 늘어뜨려 두는 겁니다. 질질 끌고 다니도록 하는 것이죠. 처음 목줄을 하고 다니는 강아지는 불편하고 때론 무서워서 목줄을 피하거나 움직이지 못할 수 있습니다. 이런 모습이 없어저야 합니다. 목줄을 맨 것이 별것 아니라고 느껴지며 자유롭게 다니게 되면 비로소 사람이 강아지의 목줄을 잡고 밖으로 나가 산책훈련을 할 수 있게 됩니다. 강아지에게 목줄을 하고 걷는 법, 다시 말해 줄을 당기 않아도 보호자의 보폭에 맞추어 곁에서 함께 걷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입니다. 걷는 방법은 '이리 와', '앉아', '엎드려'와 같은 기본적인 예절훈련에 속하며 특히 대도시에서는 반드시 배워야 할 기초 교육입니다. 펫티켓에도 해당이 되죠. 그래야만 주위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거나 강아지에게 이리저리 끌려다니지 않고 보호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차분하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또한 목줄을 하면 줄을 통해 집 밖에서도 보호자와 지속적으로 서열을 유지할 수 있어 오히려 강아지도 안정감을 가질 수 있습니다. 강아지는 사람처럼 사회적 동물입니다. 매번 강아지에게 서열을 강조할 필요는 없지만 만약 강아지 스스로 보호자보다 서열이 높다고 생각한다면 모든 상황을 본인이 스스로 해결해야 된다고 생각하고 행동하기 때문에 더 불안해하고 예민한 강아지가 됩니다.
강아지 목에 목줄을 채우고 리드줄을 메서 보호자가 줄을 잡게 되면 보호자의 현 상태가 줄을 통해 강아지에게 그대로 전달이 됩니다. 그래서 리드줄은 항상 느슨해야 합니다. 만약 줄을 팽팽하게 당기고만 있으면 강아지는 보호자가 계속 긴장하고 있다고 여겨 강아지도 긴장하고 산책을 즐길 수 없게 됩니다. 산책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도, 한 손에 줄을 쥔 채 함께 걸으며 집에서 하는 것처럼 말을 붙이고 장난을 치며 머리를 쓰다듬어주세요. 산책은 강아지와 보호자가 함께하는 행위입니다. 안전하게 목줄을 매고 함께 즐거운 산책을 즐기시길 바랍니다.
'반려견 훈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밍시그널, 강아지가 손과 얼굴을 자꾸 핥는 이유는? (1) | 2023.05.12 |
---|---|
식탐 강한 우리 강아지, 식습관을 위해 음식을 나눠 먹어도 괜찮을까요? (0) | 2023.05.09 |
한국 애견 협회 3급 반려견 훈련사 자격증 복종 훈련 CD1 오비디언스 (0) | 2023.04.12 |
자동차에 타는 것을 무서워 하는 강아지, 이렇게 훈련 해보세요. (0) | 2023.03.23 |
보호자를 좋아하는 비숑 강아지 분리불안이 심하다면? 원인과 훈련방법 (0) | 2023.03.07 |
댓글